편의점 수익으로는 안될 것 같아서 취직을 했습니다. 월~금 은 부모님께 맏기고 공휴일이나 토,일은 제가 운영해야될 것같아요.
보험회사 헬프데스크로 갔는데 금액이 괜찮아서요. 아직 2주정도 남아서 공부를 뭘해야할까하다가 정보처리기사는 이미 땃고 정보보안기사를 공부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class101에서 강의도 보고 있구요
정보보안기사 몇개의 파트로 나눠저 있는데 네트워크 보안부터 강의를 하더라구요
OSI모델, OSI모델의 계층구조, TCP/IP, OSI와 TCP/IP비교, 캡슐화와 역캡슐화, 다중화와 역다중화 이렇게 순서대로 배우는 것같습니다.
정보처리기사때 암기식으로 외운 것같은데요 OSI 7계층은 물데네전세표응 이렇게 왜운 이억이 납니다.
OSI 7계층을 바로 배우지 않고 몇가지 개념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프로토콜
1. 프로토콜의 정의
- 데이터 통신에서 송/수신자측 또는 네트워크 내에서 사전에 약속된 규약 또는 규범
2. 주요구성요소
- 구문: 데이터의 구조나 형식
- 의미 : 비트의 영역별 의미
- 타이밍 : 데이터를 언제 얼마나 빠른 속도로 전송하는지 나타냄
프로토콜의 물리적측면과 논리적 측면
1. 프로토콜의 물리적 측면 :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 매체, 접속용 커넥터 및 전송 신호 등 물리적 요소로는 RS-232C, V.21이 있다.
2. 프로토콜의 논리척 측면 : 크게 동일한 회사 제품간에 통신만이 가능한 전용 프로토콜과 일반적인 적용이 가능한 범용 프로토콜이 존재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IBM의 SNA, SDLC이고 일반적인 범용 프로토콜은 TCP/IP가 대표적이다.
코드
- 대표적인 코드는 유니코드 16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전세계의 모든 언어에서 사용되는 부호나 문자를 나타낸다.
-미국에서 개발된 ASCII 는 현재 유니코드의 처음 127개 문자에 해당한다.
RS-232C
데이터단말장치(DTE)와 데이터 회선 종단장치(DCE)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V.21
전화 교환망 또는 2선식 전용 회선을 사용한 양방향 통신용 모뎀의 변조방식에 관한 ITU-T권고
ITU-T
통신 장비 및 시스템의 국제 표준을 만들기 위한 최초의 국제기구. 전에는 시시아이티티로 알려져 있었으며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SNA(systems network archiecture)
IBM호스트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하기 위해 독자적으로 개발한 통신망 구조이다.
SLDC(synchronous data link control)
SNA(systems network archiectrue)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OSI모델
개방형시스템의 기반 구조와 관계없이 시스템간의 통신을 제공하는 계층형 프로토콜 집합
이기종 시스템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
OSI 모델의 계층 구조
1계층 : 물리계층 : 전송을 위해 필요한 물리적 링크의 설정, 유지, 해제를 담당
2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논리적 연결제어를 담당하는 LCC 또는 DLC와 장비와 장비간의 물리적인 접속을 담담하는 MAC두개 sub계층 존재
3계층 : 네트워크 계청 : 논리적 링크를 설정하고 상위 계층 데이터를 작은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역할
4계층 : 전송계층 : 세션을 설정하고 두 종단간 제어 담당
5계층 : 세션계층 : 통신시스템간에 상호 대화를 설정하고 유지 및 동기화
6계층 : 표현계층 : 정보 데이터의 표현방식을 바꾸는 기능을 담당
7계층 : 응용계층 : 최상위 계층으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1~3계층은 네트워크 계층
4계층은 연결계층
5~7계층은 사용자 계층이라고도 합니다.
참고하면 좋은 캡쳐 자료들